
2025년 기준 급여공제와 세금구조, 이렇게 정리하면 어렵지 않아요
월급명세서를 받아보면 생각보다 많아 보이는 공제 항목들. 국민연금, 건강보험은 알겠는데 갑근세? 주민세? 원천세? 이 글에서는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4대보험 체계, 소득세 구조, 그리고 소득세계산 흐름까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4대보험 공제 구조 이해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을 말합니다. 이들 항목은 급여명세서상에서 세전급여에서 공제되어 실수령액이 결정됩니다.
| 보험 항목 | 근로자 부담율 | 비고 |
|---|---|---|
| 국민연금 | 4.5% | 사용자 4.5% 추가 부담 |
| 건강보험 | 3.545% | 2025년 기준 요율 |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81% | 자동 연동 계산 |
| 고용보험 | 0.9% | 사업장 규모에 따라 사용자 부담 증가 |
총 공제율은 약 9~10% 수준이며, 급여에 따라 실제 공제금액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2. 갑근세, 원천세, 주민세 차이
세금은 보통 ‘갑근세’라는 이름으로 묶여 공제되지만 정확히는 소득세(원천징수)와 지방소득세가 구분되어 적용됩니다.
| 항목 | 내용 | 비율 |
|---|---|---|
| 소득세 (원천세) | 급여에서 사전 공제되는 세금 | 과세표준 구간별 누진세율 |
|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 소득세 계산 후 자동 적용 |
| 갑근세 | 소득세 + 주민세 통칭 | - |
실제로는 소득세가 계산된 후, 지방소득세(주민세)가 추가로 붙는 구조이며, 모두 급여지급 시 원천징수 방식으로 공제됩니다.
3. 소득세율표와 누진세 구조
소득세는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이 올라가는 누진구조입니다. 아래 표는 2025년 적용 예정 근로소득 기준 소득세율입니다.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
| 1,200만원 이하 | 6% | 없음 |
| 1,200만원 초과 ~ 4,600만원 이하 | 15% | 108만원 |
| 4,6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 24% | 522만원 |
| 8,800만원 초과 ~ 1억5천만원 이하 | 35% | 1,490만원 |
예를 들어 연봉 5천만원일 경우, 전체에 세율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간별로 나누어 세율이 적용되며, 공제액을 차감하는 방식입니다.
4. 소득세계산 흐름 요약
소득세계산은 ‘과세 대상 금액 → 세율 적용 → 누진공제 → 산출세액 → 세액공제’ 이 순서로 진행되며, 연말정산 시 종합 조정됩니다.
| 단계 | 내용 |
|---|---|
| 1단계 | 총급여에서 비과세 소득 제외 |
| 2단계 | 과세표준 산정 (총급여 - 공제항목) |
| 3단계 | 구간별 세율 적용 후 누진공제 차감 |
| 4단계 | 세액공제 반영 (기본공제, 교육비 등) |
| 5단계 | 지방소득세 10% 추가 |
이 흐름은 근로소득 뿐만 아니라 기타소득, 프리랜서 소득에도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5. 프리랜서와 사업자의 원천세 차이
직장인은 급여에서 회사가 원천징수하지만, 프리랜서나 개인사업자의 경우는 소득 지급처에서 원천징수를 하며 사업소득·기타소득 구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 사업소득: 3.3% (소득세 3%, 주민세 0.3%)
- 기타소득: 8.8% (소득세 8%, 주민세 0.8%)
간이영수증 수령 시에는 원천세 없이 지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6. 고용보험·산재보험 요율 정리
직장인이라면 매달 급여에서 빠져나가는 고용보험과 사용자가 부담하는 산재보험에 대한 기본 요율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 항목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
| 고용보험 | 0.9% | 0.9~1.25% |
| 산재보험 | 없음 | 0.7~3.4% (업종별 상이) |
산재보험은 모든 사업주가 100% 부담하며, 고용보험은 실업급여, 육아휴직급여 등에 활용됩니다.
7. 요약 정리 – 직장인이 알아야 할 세금 체크포인트
- 급여명세서상 '갑근세'는 소득세 + 지방소득세
- 4대보험 공제율은 약 9~10% 수준
- 과세표준과 누진세율 구조는 꼭 이해해야 함
- 프리랜서는 3.3% 원천세 별도 계산됨
- 산재보험은 전액 사업주 부담
이 콘텐츠가 실무 이해에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고, 구독해주신다면 감사드립니다.
※ 본 콘텐츠는 세무 상담이나 법률 자문이 아닌, 2025년 기준 일반적인 급여·세금 구조에 대한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정확한 세액은 회사 회계 기준 및 개인 소득 구조에 따라 달라지므로 회계사 또는 세무전문가의 검토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