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폐가전·고철·금속 시세의 현실과 거래 방법 총정리

by view10000 2025. 10. 24.
반응형

2025년 현재, 재활용 원자재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특히 폐가전, 고철, 구리, 알루미늄, 주석, 은, 팔라듐 등의 금속은 국내외 경제 여건, 건설 경기, 전자산업의 공급망 변화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시세가 변동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철과 금속류의 실제 가격, 재활용 절차, 수거 신청 방법, 현장 거래 시 주의할 점 등 전반적인 정보를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정리했습니다.

1. 고철 시세의 현재 상황

고철은 철강 제조 및 제련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재료로 사용되며, 재활용을 통해 환경 보호와 자원 절감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철 시세도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고철 종류 평균 시세 (2025년 10월 기준) 비고
일반 고철 약 250~270원/kg 대형 스크랩업체 기준
혼합철 (스크랩) 약 200~230원/kg 산업용 파쇄 잔재 포함
스테인리스 (304 기준) 약 1,800~2,100원/kg 니켈 포함 함량 따라 다름

2. 폐가전제품 무상 수거 및 거래 방법

가전제품은 대부분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정부는 이를 촉진하기 위해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 수거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폐가전 무상수거 신청 방법

  • 인터넷 신청: 폐가전 수거 접수센터에서 신청 가능
  • 전화 신청: 1599-0903
  • 대상 품목: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자렌지, TV, 컴퓨터, 모니터 등
  • 방문 수거 후 1~2일 내 처리

주의사항으로는 대형 폐기물과 함께 버릴 경우 '폐기물 스티커'를 구매해야 하며, 일반적인 수거 대상이 아닌 품목(소형가전 또는 분해된 제품)은 별도 업체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3. 구리·은·주석·팔라듐 시세와 거래 유의점

산업용 금속 중에서 구리와 은은 가장 거래량이 많으며, 주석과 팔라듐은 전자회로 및 고급 소재에서 수요가 높습니다. 최근 국제 원자재 수급난으로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재활용 가능 금속은 중고 거래 시장에서도 경쟁이 치열합니다.

금속명 최근 국내 평균 시세 거래 팁
구리 약 11,300원/kg 깨끗한 전선 구리일수록 고가
순은 (은괴) 약 11,400원/돈 (3.75g 기준) 한국금거래소 등 시세 확인 필수
주석 약 45,000원/kg 납·불순물 섞인 경우 감가
팔라듐 약 1,700,000원/트로이온스 주로 산업용 촉매, 장기 보관시 주의

4. 고물상에서의 거래 방식과 팁

현장 거래는 대부분 현금 거래이며, 가격은 시세와 지역별 경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지키면 보다 공정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1. 반출 전 품목 정리: 철, 구리,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비철금속 등 분리 보관
  2. 무게 측정 시 확인: 전자저울의 영점 확인 필수
  3. 입금 여부 확인: 거래 후 영수증 또는 문자 전송 여부 확인
  4. 시세 비교: 최소 2~3곳 시세 비교 후 거래

고철상/고물상 시세는 '고철넷', '스크랩월드', '전국고물상협회' 등의 커뮤니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일부 고철상은 방문 수거도 병행하며, 일정 중량 이상 거래 시 추가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5. 고철 관련 생활 용어 간단 정리

용어 의미
스크랩 고철, 폐금속, 재활용 자원을 총칭하는 용어
폐초경 공구, 절삭날 등에서 수거되는 초경합금 스크랩
SPCC 압연 강판으로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됨
비스무트 납 대체재로 사용하는 희소금속
포금 표면에 금도금을 한 제품 (재활용 시 순금 아님)

6. 지역별 고물상 및 수거업체 정보

고물상 및 수거 업체는 지역 커뮤니티나 구청 홈페이지, 지역맘카페 등을 통해 찾을 수 있으며, 주요 키워드로는 '안성 고물상', '군산 고물상', '부천 대형폐기물 신고', '용인 고물상', '천안 고물상' 등이 있습니다.

7. 마무리 및 요약

2025년 기준 고철 및 폐가전, 산업용 금속의 시세는 전반적으로 상승세이며, 재활용 및 자원 거래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거래 시에는 정확한 시세 정보와 업체별 가격 비교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하며, 특히 초보자의 경우 수거업체나 고물상과의 계약 조건을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무상 수거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