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까지 다양한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MZ세대(20~40대). 그중에서도 최근 주목받는 자산이 바로 ‘금’입니다. 예전에는 금투자가 ‘부자들의 자산 보관용’으로 여겨졌다면, 요즘은 모바일로도 간편하게 소액 금투자가 가능해지면서 젊은 세대에게도 인기 있는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MZ세대를 위한 금 투자법으로 KRX 금시장, 골드 ETF, 모바일 금통장 세 가지 방법을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1. KRX 금시장: 공식 금 거래 플랫폼
KRX 금시장은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금 거래 전용 플랫폼으로, 주식처럼 온라인에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시장입니다. 개인 투자자도 증권계좌만 있으면 1g 단위로 매매할 수 있고, 세금 혜택까지 있어 젊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
KRX 금시장 주요 특징
- 1g 단위로 소액 투자 가능
- 증권사 HTS/MTS로 거래
- 거래 수수료 약 0.3% 내외
- 부가세 면제 (실물 인출 제외)
- 실물 인출도 가능 (1kg 단위)
KRX 금시장 거래 절차
- KRX 금시장 거래 지원 증권사에서 계좌 개설 (키움, NH투자 등)
- HTS/MTS에서 금 종목 검색 후 매매
- 1g 단위 거래 가능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발생
금 시세에 맞춰 직접 매수/매도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어, 주식에 익숙한 MZ세대에게 적합한 방식입니다.
2. 골드 ETF: 주식처럼 편하게 금 투자
ETF(Exchange Traded Fund)는 특정 자산(여기선 금)의 가격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입니다. 골드 ETF는 금 가격에 따라 움직이며, 금 실물 대신 증권의 형태로 보유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국내 대표 골드 ETF
| ETF 이름 | 운용사 | 설명 |
|---|---|---|
| KODEX 골드선물(H) | 삼성자산운용 | 금 선물에 투자, 환헤지 적용 |
| TIGER 금은선물(H) | 미래에셋 | 금과 은 선물 동시 투자 |
| HANARO 금선물 ETF | NH-Amundi | 미국 금선물 가격 추종 |
장점: 간편한 거래, 수수료 저렴, 다양한 종목 선택 가능 단점: 금 실물 보유 불가, 환율 영향 가능성 존재
3. 모바일 금통장: 진입장벽 없는 금 투자
모바일 금통장은 은행 앱 또는 증권사 앱을 통해 1g 단위로 금을 구매하고, 다시 팔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물 인출은 제한되지만, 가격 차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는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입니다.
대표 모바일 금통장
| 운영기관 | 플랫폼 | 특징 |
|---|---|---|
| 신한은행 | 신한SOL 앱 | 1g부터 구매 가능, 매도 수수료 낮음 |
| KB국민은행 | KB스타뱅킹 | 매수/매도 수수료 1% 내외 |
| 하나은행 | 하나원큐 | 1g 단위, 실물 인출 불가 |
장점: 간편함 최고, 모바일 앱으로 바로 거래 가능 단점: 실물 보유 불가, 실시간 시세 반영 제한 가능성
결론
금은 더 이상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자산’이 아닙니다. MZ세대도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고, 다양한 투자 수단을 활용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KRX 금시장은 신뢰성과 세금혜택, 골드 ETF는 간편성과 다양성, 모바일 금통장은 접근성과 실용성을 갖추고 있어, 각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내 상황에 맞는 금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면, 금융 전문가나 금 투자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통해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전략을 구성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